본문 바로가기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728x90
반응형

레지스터의 역할이 아닌 것은? 4

  1. 인스트럭션의 저장
  2. 데이터의 저장
  3. 주소의 저장
  4. 제어신호의 저장

어셈블리어에서 기계와 1대1의 대응관계가 있는 알파벳 코드는? 2

  1. 그레이 코드
  2. 니모닉 코드
  3. 오브젝트 코드
  4. 소스 코드

ROM의 기억 특성은? 4

  1. 휘발성이며 파괴적으로 읽는다
  2. 비휘발성이며 파괴적으로 읽는다
  3. 휘발성이며 비파괴적으로 읽는다
  4. 비휘발성이며 비파괴적으로 읽는다

DMA 동작시 사용되는 레지스터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1. 제어 레지스터
  2. 주소 레지스터
  3. 데이터 레지스터
  4. 카운터

다음 중 인터럽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3

  1. 인터럽트는 기계적 고장이나 프로그램 수행 중 잘못된 데이터 등에 의해서 발생된다.
  2. 입출력시 인터럽트의 필요성은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의 속도차이 때문이다.
  3. 입출력 인터럽트를 사용하면 하드웨어의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4. 인터럽트 취급 루틴에서 반드시 사용하는 레지스터는 PC(Program Counter)이다.

명령어의 번지 필드가 가리키는 번지에 유효번지가 있는 어드레싱 모드는? 4

  1. base register addressing mode
  2. indexed addressing mode
  3. relative addressing mode
  4. indirect addressing mode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의 연산 결과가 틀렸음을 나타내주는 플래그는? 3

  1. CARRY
  2. ZERO
  3. OVERFLOW
  4. SIGN

데이터 전송 명령어가 아닌 것은? 4

  1. 메모리 전송 명령어
  2. 입출력 명령어
  3. 스택 명령어
  4. 서포트 명령어

Static RAM을 구성하는 회로는? 1

  1. 플립플롭
  2. 인코더
  3. 단안전 멀티바이브레이터
  4.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입출력 채널에 의한 입출력 방식 중 한 번에 여러 개의 장치들에 대한 입출력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것은? 3

  1. Selector Channel
  2. Byte Channel
  3. Multiplexer Channel
  4. Multi-Device Channel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1. Indirect mapping
  2. Associative mapping
  3. Direct mapping
  4. Set- associative mapping

입출력 인터페이스 구성에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4

  1. 주소 버스
  2. 데이터 버스
  3. 제어 버스
  4. 명령어 디코더

Isolated I/O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2

  1. 별개의 I/O 명령을 사용한다.
  2. 입출력 포트가 기억장치 주소공간의 일부이다.
  3. 메모리 공간이 넓다.
  4. 입출력 장치들의 주소 공간이 주기억장치 주소 공간과는 별도로 할당된다.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상태는? 2

  1. fetch state
  2. major state
  3. stable state
  4. unstable state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2

  1. 원거리 통신에 사용한다.
  2.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3. 전송을 위한 회선이 적게 사용된다.
  4. 입력된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기억장치 대역폭(bandwidth)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

  1. 사이클 타임 또는 접근시간과 기억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 길이(버스 폭)에 따라 결정된다.
  2. 기억장치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1초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이다.
  3. 한 번에 전송되는 데이터 워드가 크면 대역폭은 증가한다.
  4. 기억장치 모듈 접근시간이 크면 대역폭은 증가한다.

제어논리가 마이크로 프로그램 기억장치인 읽기용 기억장치(ROM)에 구성되어 있어, 여러 대규모 직접회로군이 이미 마이크로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은? 4

  1. 가상 CPU
  2. 슈퍼 VHS
  3. 슈퍼 워크스테이션
  4. 쇼트키 쌍극형 마이크로컴퓨터 세트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알려주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

  1. Mask
  2. Interrupt
  3. Controlling
  4. PSW(Program State Word)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어셈블리 프로그램의 ORG 명령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은? 4

  1. 서브루틴
  2. 램 스토리지
  3. 메모리 스택
  4. 프로그램 카운터

자료를 기억하거나 읽는 자료를 받는 레지스터로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반드시 거쳐야 하는 레지스터는? 2

  1. MAR
  2. MBR
  3. AC
  4. PC

SRAM과 DRAM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해설=> SRAM : 구조 플립플롭, 속도 빠름, 용량 적음, 가격 비쌈

            DRAM : 구조 캐패시터, 속도 느림, 용량 많음, 가격 저렴

  1. SRAM은 리플래시가 필요없다.
  2. DRAM은 휘발성 소자이다.
  3. DRAM은 집적도가 높아 고용량이 가능하다.
  4. SRAM은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다음 중 메모리 맵(memory mapped)형 입출력 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입출력 포트를 다루기 위한 인스트럭션이 따로 있다.
  2. 메모리의 번지를 I/O  인터페이스 레지스터까지 확장하여 지정한다.
  3. 메모리에 대한 제어신호만 필요하고 메모리와 입출력 번지 사이의 구분은 없다.
  4. I/O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번지는 메모리 번지를 이용하므로 메모리 용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능력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4

  1. clock frequency
  2. data bus width
  3. addressing mode
  4. software compatibility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과정상 16비트의 컴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4

해설=> 가상메모리 기법은 32비트 레지스터들과 32비트 외부 데이터 버스를 가진 인텔 80389 프로세서부터 도입

  1. 데이터 버스가 16비트로 확장되었다.
  2. 멀티태스킹 지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3. co-processor를 장착하여 연산기능을 향상시켰다.
  4. 논리적 메모리 용량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가상메모리 기법을 도입하였다.

주소지정 방식 중 레지스터의 초기화와 상수를 지정하는데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3

  1. 직접 주소 방식
  2. 간접 주소 방식
  3. 즉시 주소 방식
  4. 인덱스 주소 방식

I/O 장치 자체를 기억장치의 일부로 취급하는 것은? 3

  1. isolated I/O
  2. user-initiated I/O
  3. memory-mapped I/O
  4. direct memory access

주소지정 방식 중 다음에 수행 할 명령의 주소를 일시 기억하는 프로그램 카운터와 오퍼랜드에 기록된 변위 값이 더해져 자료의 위치를 찾아내는 주소 지정 방식은? 3

  1. Immediate Addressing Mode
  2. Indirect Addressing Mode
  3. Relative Addressing Mode
  4. Implied Addressing Mode

마이크로프로세서 명령어 중 기능상 성격이 다른 것은? 3

  1. ADD
  2. SUB
  3. MOV
  4. INC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저장 명령으로부터 기억장치에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2

  1. seek time
  2. access time
  3. latency time
  4. data transmission time

주 메모리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2

  1. 대역폭
  2. 기억소자
  3. 기억용량
  4. 사이클 시간

ATMega128 MCU의 특징 중 틀린 것은? 2

  1. RISC 구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2. 폰노이만 구조로 설계되었다.
  3. 8비트의 마이크컨트롤러이다.
  4. JTAG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다.

DMA 제어기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3

  1. 워드 카운터 레지스터
  2. 자료 버퍼 레지스터
  3. 데이지체인
  4. 주소 레지스터

마이크로컴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3

  1. 소비전력이 적다.
  2. 제품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3. 기능 변경은 어렵지만 확장은 가능하다.
  4. 신제품 개발비와 유지비가 적어 경제성이 있다.

Solid State Driv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1. NAND 플래시 또는 NOR 플래시로 구성되어 있다.
  2. 소비전력이 기존 하드 디스크 저장장치보다 적다.
  3. 플로팅 게이트(FG)에 전자를 채우고 비우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 삭제한다.
  4. 1개의 셀 당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면 SLC, 2비트를 저장하면 TLC, 4비트를 저장하면 QLC라 한다.

인터럽트 발생 시 각 장치 내에 있는 상태 레지스터의 인터럽트 비트를 우선순위에 따라 차례로 조사하여 어떤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는지를 알아내는 방법은? 1

  1. Polling 방식
  2. Strobe Control
  3. 인터럽트 마스크
  4. 벡터 인터럽트 방식

RISC 컴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3

  1. 명령어 수가 최소화 된다.
  2. 파이프라인이 효율적이다.
  3. 주소지정 방식이 다양하다.
  4. 명령어 길이가 고정적이어서 해독하기가 쉽다.

DMA(Direct Memory Access)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입출력 전송시 DMA는 CPU에 버스 사용을 요청한 후 CPU의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자료를 전송하게 된다.
  2. DMA 제어기는 Address register, Word counter, Control and Status register로 구성되어 있다.
  3. DMA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 Cycle Stealing방식은 한번에 하나의 워드만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스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해설=> 스택은 LIFO

  1. 서브루틴 호출 시 복귀 주소가 저장된다.
  2. 스택은 선입선출(FIFO)구조로 되어있다.
  3. 스택은 포인터에 의해 가장 최근에 들어온 데이터의 주소가 지시되어 진다.
  4. 스택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PUSH 명령어를 사용한다.

ALU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

  1. 가산을 한다
  2. AND 동작을 한다
  3. complement 동작을 한다
  4. PC를 1만큼 증가시킨다

memory mapped I/O 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

  1. I/O 전달 명령과 memory 전달 명령은 같다.
  2. 기억장소상의 주소와 입출력 주소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다.
  3. 기억장소의 주소 범위는 인터페이스 주소할당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명령어 활용면에서 isolated 입출력에 비해서 유리하다.

CPU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4

  1. 프로그램 카운터
  2. 산술논리연산장치
  3. 범용 레지스터
  4. 스택 메모리

RIS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CISC에 비해 명령어 형식이 다양하다.
  2. 명령어 수행은 하드웨어에 의해 직접 실행된다.
  3. 대부분 제어 메모리가 없는 하드 와이어드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4.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의 수를 줄임으로서 하드웨어를 단순화시키고 시스템 성능을 더욱 개선한 컴퓨터 구조 기술이다.

Static RAM을 구성하는 회로는? 1

  1. 플립플롭
  2. 인코더
  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주소 지정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3

  1. 피연산자의 Bit수를 줄여서 명령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2. 여러 가지의 주소 지정 방식에 의해 프로그램 작성의 융통성이 있다.
  3. 주소 필드의 길이 지정을 통해 주기억장치의 접근 속도를 레지스터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4. 프로그램들을 재배치 가능한 방식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중 가장 많은 양의 자료를 일정 시간에 입출력할 수 있는 방식은? 3

  1.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2. 인터럽트에 의한 입출력
  3. DMA
  4. 직렬 입출력

Byte Multiplexer Channel 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1. 한 번에 한 바이트 만을 전송한다.
  2. 모니터, 프린터와 같은 저속 입출력장치에 대하여 사용한다.
  3. 시분할 방식에 의해서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하나씩 돌아가면서 한 바이트씩 입출력한다.
  4. 바이트 전송 속도를 선택할 수 있어 Selector Channel이라고도 불린다.

직렬 통신 속도를 결정해주기 위한 클록을 공급해 주는 것은? 보레이트 공급기(Baud Rate Generator)

주기억장치의 한 영역으로 입출력 장치와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중간에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Buffer 레지스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I/O 인터페이스로부터 요청된 인터럽트를 해결하기 위해 I/O 주변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중 인식 과정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I/O 주변장치에 특정 코드를 할당하는 방식은? 벡터 인터럽트 방식

 

하드웨어적으로 인터럽트 요청 장치의 우선순위를 판별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은? Daisy-Chain

 

주소 지정방식 중에서 기억장치를 가장 많이 액세스해야 하는 방식은? 간접주소 지정방식

 

서브루틴 호출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와 같은 동작 후에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스택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독하여 그 명령 신호를 각 장치에 보내 명령을 처리하도록 지시하는 것은? 제어장치

 

CPU와 주기억장치 속도 차이에 따른 별도의 고속기억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Cache

 

 CPU 주변회로의 Read/Write signal이나 Chip select signal 등의 신호는 어느 버스에 싣게 되는가? 제어 버스

 

입출력 장치끼리 인터럽트를 발생한 주변장치를 찾아내는 방식은? 데이지 체인

 

특정한 비트만 0으로 하기 위한 연산은? AND연산

 

ADD B라는 인스트럭션의 형식은 무엇인가? 1-주소 인스트럭션

 

I/O 버스를 통하여 접수된 command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지는 곳은? 커맨드 디코더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보 레이트(baud rate)

 

메인루틴에서 서브루틴 종료 후 다시 메인루틴으로 돌아올 수 있는 이유는?

서브루틴 호출 시 CALL 명령어 다음의 메모리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