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728x90
반응형

반가산기에서 입력을 X,Y라 할 때 출력부분의 캐리(carry) 값은? 1

  1. XY
  2. X
  3. Y
  4. X+Y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1.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2.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3.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레지스터
  4.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하는 데이터

사이클 타임이 750ns의 기억장치에서는 이론적으로 초당 몇 개의 데이터를 불러 낼 수 있는가? 3

  1. 약 750개
  2. 약 1330개
  3. 약 1.3X10의 6승개
  4. 약 750X10의 6승개

명령어가 오퍼레이션 코드(OP code) 6비트, 어드레스 필드 16비트로 되어있다. 이 명령어를 쓰는 컴퓨터의 최대 메모리 용량은? 3

  1. 16K word
  2. 32K word
  3. 64K word
  4. 1M word

CPU 내부의 레지스터 중 프로그램 제어와 관계있는 것은? 4

  1. memory address register
  2. index register
  3. accumulator
  4. status register

I/O operation과 관계가 없는 것은? 4

  1. channel
  2. handshaking
  3. interrupt
  4. emulation

다음 중 타이머에 의한 인터럽트는? 3

  1. 프로그램 인터럽트
  2.  I/O 인터럽트
  3. 외부 인터럽트
  4. 머신 체크 인터럽트

DMA 제어기에서 CPU와 I/O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4

  1. address register
  2. word count register
  3. address line
  4. device register

기억장치를 각 모듈이 번갈아가며 접근하는 방법은? 3

  1. 페이징
  2. 스테이징
  3. 인터리빙
  4. 세그먼팅

블루레이 디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 적색 레이저(650nm)를 사용한다.
  2. 비디오 포맷은 DVD와 동일한 MPEG-2 기반 코덱이 사용된다.
  3. 단층 기록면을 가지는 12cm 직경에 25GB 정도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4. BD-ROM(읽기전용), BD-R(기록가능), BD-RE(재기록가능)가 있다.

PE(processing element)라는 연산기를 사용하여 동기적 병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2

  1. Pipeline processor
  2. Vector processor
  3. Multi processor
  4. VLSI processor

베이스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4

  1. 베이스레지스터가 필요하다.
  2. 프로그램의 재배치가 용이하다.
  3.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에 많이 사용된다.
  4. 명령어의 길이가 절대주소지정방식보다 길어야한다.

채널(Channe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

  1. DMA와 달리 여러개의 블록을 입출력 할 수 있다.
  2. 시스템의 입출력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3. 멀티플렉서 채널은 저속인 여러 장치를 동시에 제어하는데 적합하다.
  4.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CPU의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캐시 액세스 시간이 11sec, 주기억장치 액세스 시간이 20sec, 캐시 적중률이 90%일 때 기억장치 평균 액세스 시간을 구하면? 4

해설=> 캐시 액세스 시간+주기억장치 액세스시간*(1-캐시적중률) =  11+20*0.1 = 13

  1. 1sec
  2. 3sec
  3. 9sec
  4. 13sec

기억장치계층구조에서 상위계층 기억장치가 가지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 2

  1. 기억장치 액세스 속도가 느려진다.
  2. CPU에 의한 액세스 빈도가 높아진다.
  3. 기억장치 용량이 증가한다.
  4.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비트당 가격이 낮아진다.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바이오스(BIOS)가 탑재되는 곳은? 3

  1. RAM
  2. I/O port
  3. ROM
  4. CPU

전가산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자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3

  1. 반가산기 2개, AND 게이트 1개 
  2. 반가산기 1개, AND 게이트 2개
  3. 반가산기 2개, OR 게이트 1개
  4. 반가산기 1개, OR 게이트 2개

다음 마이크로연산이 나타내는 동작은? 2

  1. Branch AC
  2. Store to AC
  3. Add AC
  4. Load to AC

DRA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해설=> 2번은 SRAM에 관한 설명

  1. SRAM에 비해 기억용량이 크다.
  2. 쌍안경 논리회로의 성질을 응용한다.
  3. 주기억 장치 구성에 사용된다.
  4. SRAM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1.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 연산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2. 주기억장치 내에 존재하는 회로로 가감승제 계산 및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이다.
  3. 일정한 입력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를 항상 보관하는 장치이다.
  4. 정밀 계산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두어 유효숫자의 개수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16개의 입력선을 가진 multiplexer의 출력에 32개의 출력선을 가진 demultiplexer를 연결했을 경우에 multiplexer와 demultiplexer의 선택 선은 각각 몇 개를 가져야 하는가? 1

해설=> 멀티플렉서는 2^n개의 입력선에 n개의 출력선

디멀티플렉서는 2^n개의 출력선에 n개의 입력선을 가짐

멀티플렉서의 입력선이 16개인 경우 2^4

디멀티플렉서의 출력선이 32개인 경우 2^5

  1. multiplexer:4개, demultiplexer:5개
  2. multiplexer:4개, demultiplexer:3개
  3. multiplexer:8개, demultiplexer:4개
  4. multiplexer:4개, demultiplexer:8개

0-주소 인스트럭션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1

  1. 스택
  2. 베이스 레지스터
  3. 주소 레지스터

다음 중 오류 검출 코드(Error Detection Code)가 아닌 것은? 4

  1. Biquinary code
  2. 2-out-of-5 code
  3. 3-out-of-5 code
  4. Excess-3 code

메모리 인터리빙과 관계 없는 것은? 1

  1.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2. 복수 모듈 기억 장치를 이용한다.
  3. 기억 장치에 접근을 각 모듈에 번갈아 가면서 하도록 한다.
  4. 각 인스트럭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주소에 관계가 있다.

컴퓨터의 메이저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설=> EXECUTE 상태에서 인터럽트의 요청이 있으면 INTERRUPT 단계로 변천

요청이 없다면 FETCH 상태로 감

  1. EXECUTE 상태가 끝나면 항상 FETCH 상태로만 간다.
  2. 간접 주소 명령어 형식인 경우 FETCH-INDIRECT-EXECUTE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3. EXECUTE 상태는 연산자 코드의 내용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4. FETCH 상태에서는 기억 장치에서 인스트럭션을 읽어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온다.

기억장치가 1024 워드로 구성되어 있고, 각 워드는 16비트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PC, MAR, MBR의 비트 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2

해설=> 기억장치가 2^10 이므로 1024개의 공간 구분에 10bit가 필요

PC와 MAR은 10bit , MBR은 16bit

  1. PC 10 MAR 10 MBR 10
  2. PC 10 MAR 10 MBR 16
  3. PC 16 MAR 10 MBR 16
  4. PC 16 MAR 16 MBR 16

입출력 방법 가운데 I/O를 위한 특별한 명령어를 I/O프로세서에게 수행토록 하여 CPU 관여없이 I/O를 수행하는 방법은? 4

  1. 프로그램에 의한 I/O
  2. 인터럽트에 의한 I/O
  3. 데이지 체인에 의한 I/O
  4. 채널에 의한 I/O

메이저 스테이트 중 하드웨어로 실현되는 서브루틴의 호출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3

  1. EXECUTE 스테이트
  2. INDIRECT 스테이트
  3. INTERRUPT 스테이트
  4. FETCH 스테이트

산술 시프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레지스터의 값을 우측으로 시프트 할 때 새로운 입력 비트는 1의 보수, 2의 보수 모두 0이 입력된다.
  2. 레지스터의 값을 좌측으로 시프트 할 때 새로운 입력 비트는 1의 보수인 경우 부호 비트가 입력되고, 2의 보수인 경우 무조건 0이 입력된다.
  3. 레지스터의 값을 n비트 우측으로 시프트하면 2^n으로 나누는 효과를 갖는다.
  4. 1의 보수 표현방식으로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이 최상위 비트인 부호 비트와 최하위 비트인 LSB가 서로 다를 때 우측 시프트를 수행하면 잘림 에러가 발생한다.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에 실질적인 대역폭(Bandwidth)를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1. 메모리 인터리빙
  2. 자가테이프 기억장치
  3. 가상 기억장치
  4. 폴링 방법

데이터 단위가 8비트인 메모리에서 용량이 64KB인 경우의 어드레스 핀의 개수는? 3

해설=> 64KB는 64*1024*8로 보았을 때 데이터 단위가 8비트이므로 64*1024*8/8

= 64*1024 = 2^6 * 2^10 = 2^16 따라서 어드레스 핀은 16개가 필요함

  1. 12개
  2. 14개
  3. 16개
  4. 18개

인터럽트가 발생할 경우 인터럽트 처리를 하기 전에 스택에 저장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 2

  1. PC의 내용
  2. 인터럽트 벡터
  3. 상태 레지스터
  4. CPU 레지스터의 내용

캐시와 주기억장치로 구성된 컴퓨터에서 주기억장치의 접근 시간이 200ns, 캐시 적중률이 0.9, 평균 접근시간이 30ns 일 때 캐시 메모리의 접근 시간은? 2

해설=> 0.9x + (1-0.9) * (x+200) = 30

            0.9x + 0.1x + 20 = 30

            x = 10

  1. 9ns
  2. 10ns
  3. 11ns
  4. 12ns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 나타내는 지역성을 응용해서 접근 속도를 빠르게 하는 캐시 메모리에서 변화된 캐시의 내용을 주기억장치에 기록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4

  1. write-through
  2. write-back
  3. write-once
  4. write-all

복수 모듈 기억장치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3

  1.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차의 문제점을 개선한다.
  2. 기억장치의 버스를 시분할하여 사용한다.
  3. 병렬 판독 논리회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 비용이 증가한다.
  4. 기억장소의 접근을 보다 빠르게 한다.

순서논리회로가 아닌 것은? 4

  1. 플립플롭 회로
  2. 레지스터 회로
  3. 카운터 회로
  4. 가산기 회로

CPU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2

  1. 제어장치
  2. 출력장치
  3. 연산장치
  4. 레지스터

인터럽트 수행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2

  1. 나가라마다
  2. 나가마라다
  3. 나마가다라
  4. 나라가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4

  1. 속도의 차이
  2. 전압레벨의 차이
  3. 전송 사이클 길이의 차이
  4.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차이

명령어-수준 병렬성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한 제약사항이 아닌 것은? 1

  1. 데이터 추상화
  2. 데이터 의존성
  3. 프로시저 의존성
  4. 자원충돌

인터럽트 발생 시 CPU가 저장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4

  1. 프로그램 카운터
  2. 프로세스 상태 워드
  3. 레지스터에 저장된 모든 내용
  4.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내용

보조기억장치의 특징 중 틀린 것은? 3

  1. 대용량 기억장치이다.
  2.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없다.
  3. 주기억장치보다 액세스 속도가 빠르다.
  4.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용이 유지된다.

Flynn의 병령 프로세서 구조를 분류할 때 MIMD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1. Symmetric Multiprocessor
  2. Nonuniform Memory Access
  3. Clusters
  4. Uni processor

채널 명령어(Channel Command Word)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틀린 것은? 2

  1. 명령코드
  2. 데이터 전송속도
  3. 데이터 주소
  4. 플래그

복수 모듈 기억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각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MAR, MBR이 있다.
  2. 복수 모듈 기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의 유휴시간을 줄일 수 있다.
  3. m개의 모듈로 구성된 메모리에서 m개의 연속적인 명령이 동시에 fetch 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방식이 아닌 것은? 4

  1. DMA에 의한 I/O
  2. 프로그램에 의한 I/O
  3. 인터럽트에 의한 I/O
  4. 클러스터링에 의한 I/O

병렬처리와 관계없는 것은? 4

  1. Array Processor
  2. Vector Processor
  3. Pipeline Processor
  4. Multiple phase Processor

동기고정식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제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

해설=>2번은 동기가변식

  1.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동작시간이 비슷할 때 유리한 방식이다.
  2. 각 그룹 간 서로 다른 Cycle Time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각 그룹간의 Micro Cycle Time을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
  3.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서 수행시간이 가장 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시간을 Micro Cycle Time으로 정한다.
  4.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 시간이 같다고 가정하여 CPU Clock의 주기를 Micro Cycle Time과 같도록 정의하는 방식이다.

폴링(Polling)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1. 융통성이 있다.
  2. 회로가 간단하다.
  3. 반응시간이 빠르다.
  4.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다.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와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 CISC는 명령어와 주소지정 방식을 보다 복잡하게 하여 풍부한 기능을 소유하도록 하고 RISC는 아주 간단한 명령들만 가지고 매우 빠르게 동작한다.
  2. CISC는 거의 모든 명령어가 레지스터를 대상으로 하며 메모리의 접근을 최소로 하고 RISC는 명령어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독특한 형태로 다기능을 지원하는 메모리와 레지스터를 대상으로 한다.
  3. RISC는 명령어의 수가 CISC에 비해 비교적 적은 편이며 명령어의 형식도 최소한 줄였다.
  4. CISC는 데이터 경로가 메모리로부터 레지스터,ALU,버스로 연결되는 등 다양하고 RISC는 데이터 경로 사이클을 단일화하며 사이클 타임을 최소화한다.

수직적 마이크로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1. 마이크로명령어의 비트 수가 감소된다.
  2. 제어 기억장치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3. 마이크로명령어의 코드화된 비트들을 해독하기 위한 지연이 발생한다.
  4. 마이크로명령어의 각 비트가 각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병렬 처리를 위한 컴퓨팅 시스템과 관련이 없는 것은? 4

  1. 파이프라이닝
  2. 멀티 프로세서
  3. 배열 프로세서
  4. 매크로 프로세서

셀렉터 채널(Selector Channel)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1. 버스트 방식으로 동작한다.
  2. 한번에 한 블록을 전송한다.
  3. 하나의 입출력장치를 독점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4. 주로 모니터나 프린터와 같은 저속의 입출력장치에 대하여 사용한다.

Cycle Stealing과 Interrupt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3

  1. Interrupt가 발생하면 Interrupt가 처리될 때까지 CPU는 쉰다.
  2. Interrupt 발생 시에는 CPU의 상태보전이 필요 없다.
  3. Instruction 수행 도중에 Cycle Stealing이 발생하면 CPU는 그 Cycle Stealing동안 정지된 상태가 된다.
  4. Cylcle Stealing의 발생 시에는 CPU의 상태보존이 필요하다.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

  1. D 플립플롭의 D 입력에 1을 입력하면 출력은 1이 된다.
  2. T 플립플롭은 JK 플립플롭 두개의 입력을 하나로 묶은 플립플롭이다.
  3. JK 플립플롭의 입력 JK에 동시에 0이 입력되면 출력은 현 상태의 값이 된다.
  4. JK 플립플롭의 입력 JK에 동시에 1이 입력되면 출력은 1이 된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중 연산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3

  1. Adder
  2. Shift Register
  3. Program Counter
  4. Complementar

캐시의 쓰기 정책 중 Write-through 방식의 단점은? 쓰기 동작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CPU에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은? 제어신호(control signal)

 

인터럽트 가운데 소프트웨어적 우선순위 처리 기법은? 폴링 방법

 

1-주소 명령어에서는 무엇을 이용하여 명령어 처리를 하는가? Accumulator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쓰여지는 주소를 가상 주소라고 할 때, 이들 주소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주소 공간

 

벡터 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옳은 것은? Systolic 알고리즘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자료 전달을 위한 통신 경로는? 외부 버스

 

기억장치의 계층구조에서 접근 시간이 짧은 순에서 긴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Register-Cache-RAM-HDD

 

EX-OR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NAND 게이트의 수는? 4개

 

데이터 전송 인스트럭션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인스트럭션 형식은? 메모리-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

 

연산 결과를 항상 누산기(Accmulator)에 저장하는 명령어 형식은? 1-주소 명령어

728x90
반응형